서애 류성룡

서애선생 시

여기에 게시된 서애선생관련시는 서애선생 기념사업회에서 발간한 류명희.안유호님의 "국역 류성룡시 1권~ 4권" 내용을 게시한 것입니다.

2-44 讀陽明集有感 二首 독양명집유감 이수. 양명집을 읽고 느낀 바 있어 쓴 시 두 수서문을 병기함

  • 관리자
  • 2023-05-29 오후 1:00:33
  • 2,420
  • 메일

2-44 讀陽明集有感 二首 독양명집유감 이수

        󰡔양명집󰡕을 읽고 느낀 바 있어 쓴 시 두 수서문을 병기함

 

陽明與朱子學背馳大要只在於致知格物四字上別立意見朱子謂人心之靈莫不有知天下之物莫不有理使人卽物竆理以致其知陽明則以爲理在吾心不可外索其論學一以良知爲主昔孟子論理義之悅心必以耳目爲喩盖就人之所易知者以明之也夫目固足以見天下之色然天下無色則目何有見耳固足以聽天下之聲然天下無聲則耳何所聽口固足以辨天下之味然天下無味則口何所辨斯固合內外之道不可專以在內者爲是而在外者爲非也然使爲陽明說者聞此必曰人但可求明於目目明則天下之色不難見也但可責聰於耳耳聰則天下之聲不難聽也但可使口不爽口不爽則天下之味自可辨也今捨其目與耳與口而役役焉求明於色求聰於聲求辨於味則色與聲與味其能自明自聰自辨乎斯言一出天下靡然莫有容喙者矣然目雖有見而常人之見不如離婁耳雖有聽而常人之聽不如師曠口雖有辨而常人之辨不如易牙斯乃先覺之所獨得而學之所以爲貴也若捐去書冊暝目一室但事於本心良知之間則雖一時凝定之力稍若有得而所謂三千三百致廣大盡精微者終不能如聖人矣嘉定以後末學之弊已極於口耳出入之間陽明其亦矯枉而過直者歟不然無乃禪家所謂改頭換面以籠駕一世者耶二篇意各有所在云

 

其一 (闢陽明說) [1] 양명학설을 논박하다

 

陽明每說心爲理(양명매설심위리) 양명은 논설마다 마음이 곧 이치이다고 하면서,

理在吾心不在書(리재오심부재서) 이치는 내 마음에 있지 책에 있지 않다고도 하였네.

人雖有口能知味(인수유구능지미) 사람이 비록 입이 있어 맛을 알 수 있다고는 하지만,

指良知

味辨熊魚始不疎(미변웅어시불소) 곰 발바닥과 생선은 맛을 보고 구분해야 생소하지 않다네.

指卽物竆理

道有萬殊歸一法(도유만수귀일법) (사물의)도는 만 갈래로 다르거늘 하나의 이치로 귀결시키다니,

地分胡越儘吾廬(지분호월진오려) 영토가 호월胡越(남북으로) 나뉘었어도 다 내 집이란 격일세.

物我一理

如今天下懷襄甚(여금천하회양심) 지금 천하는 홍수 극심하여 산릉山陵까지 차오르는데,

怊悵何人更鑿疏(초창하인갱착소) 애닯다 누가 다시 메인 개울바닥 파내 물길 틔울!

 

其二 (右救俗學且自警) [2] 세속적 학문을 바로잡고 내 자신을 경계하다.

 

嘉定年間末學弊(가정년간말학폐) 가정년간嘉定年間에 세속적 학문의 폐단은,

尋枝摘葉儘無竆(심지적엽진무궁) 지엽적인 문제에 너무 집착했음일세.

徒聞姬轍周天下(도문희철주천하) 오직 주례周禮 만이 천하를 공고히 한다면서,

不顧明堂盡日空(불고명당진일공) 정전正殿은 돌보지 않고 진종일 비워뒀다네.

燭幽莫忘徑寸鑑(촉유막망경촌감) 깊은 곳 비추는 것은 한 치의 거울임을 잊지 말아야 하며,

行船須倚半帆風(행선수의반범풍) 배를 갓 띄우려 할 땐 필히 반돛 바람 받아야지.

看他擾擾昏昏地(간타요요혼혼지) 저 시끌시끌한 세상 침침한 곳 살피려면,

一念回光便見功(일념회광편견공) 한결같이 자성自省해야 효험을 보리라.